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58

중국차 추천 TOP10 중국의 역사는 차의 역사라고 할 만큼,, 중국 문화에서 차문화는 아주 큰 영향을 가진다. 차는 중국인들의 삶 속에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중국에서 생산되는 차의 종류는 수천 가지에 이른다. 중국 정부는 주기적으로 10대 명차를 발표하고 중국차의 품질을 관리하고 있다. 청차, 녹차, 홍차, 백차, 흑차, 황차 6 대차류가 모두 골고루 있으니 하나씩 마셔보는 것도 추천한다. 중국의 10대 명차 1. 안계 철관음 (청차) 2. 서호 용정 (녹차) 3. 기문 홍차 (홍차) 4. 황산 모봉 (녹차) 5. 동정 벽라춘 (녹차) 6. 무이암차 (청차) 7. 군산은침 (황차) 8. 백호은침 (백차) 9. 보이차 (흑차) 10. 몽산차 (녹차) 1. 안계철관음 安溪鐵観音 청차로서, 중국 복건성 안계에서 주로 생산되.. 2022. 5. 30.
중국식 차우리기(건식 차우리기)와 대만식 차우리기(습식 차우리기) 비교 차 우리는 방법 _ 건식과 습식의 차이 중국식 차 우리기(습식) vs 대만식 차 우리기(건식) 대체적으로 중국식 차 우리기(습식)는 물을 쓰고 버리는 과정이 많다. 자사호를 예열하고, 숙우를 예열하고, 찻잔을 예열하고, 찻잎을 세차하는 과정에서 물을 사용하는 순서가 많다. 그래서 중국식 차판은 물이 빠지는 구조로 되어있고, 따로 물을 받는 퇴수통이 있는 경우가 많다. 혹은 차판아래에 물받침이 붙어있는 경우도 있다. 혹은 퇴수통을 갖춰놓고 수시로 물을 버려가면서 차를 우리는 경우가 많다. 전통적으로는 습식으로 차를 우리는 경우가 많지만, 요즘은 대만식 차 우리기(건식)을 선호하는 편이다. 대만식 차 우리기(건식)는물을 받을 수 있는 차판 등의 도구를 쓰지 않고, 잔을 예열하는 물이나 찻잎을 세차한 물을 퇴.. 2022. 5. 29.
영화, 차를 말하다 _ Movie & Tea _ 영화에 나오는 차이야기 영화, 차를 말하다 1. 책소개 ‘차는 무엇이고, 우리는 왜 차를 마시는가?’ 이 책은 13인의 차 전문가들이 13편의 영화를 통해, 차와 관련된 다양한 주제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와호장룡》부터 《일일시호일》까지 동서양의 다양한 영화를 배경삼아 녹차, 보이차, 황차, 홍차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차’의 세계를 소개한다. 차의 이모저모를 가볍고 재미있게, 그러면서도 깊이 있게 담아내고 있는 것이다. 차는 우리에게 교류와 소통의 도구이면서 사색의 도구이기도 하고, 나아가 수행과 깨달음의 도구가 되기도 하는 등, 그 기능과 역할 또한 다양하다. 영화를 만나는 설렘으로, 이 책을 통해 차의 진면목과 만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저자 : 서은미, 문기영, 김세리, 김경미, 김용재, 노근숙, 노정아, 양흥식, 윤혜진.. 2022. 5. 28.
차우리는 도구 추천, 개완 사용하는 법 개완 GAIWAN 1. 대표적인 중국식 다기 언뜻 보면 작은 밥그릇처럼 생겼다. 개완은 ‘배게’, ‘배신’, ‘배탁’ 세 부분으로 이루어져있다. 베개라고 하는 뚜껑은 하늘을, 배신이라고 하는 몸은 몸통을, 배탁이라고 하는 받침은 땅을 뜻한다. 천인합일 天人合一. 사람과 자연은 하나라는 멋진 뜻을 담고 있는 차도구이다. 중국에서는 이 개완에 차를 우리고 마시기도 하는데, 개완 사용이 일반적이지 않은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차를 우리는 용도로 사용한다. 개완은 뚜껑을 기울여 닫아 몸통 사이에 틈을 만든 후 찻물만 따라내어 사용하는 차도구이다. 찻잎을 서서히 깨우며 차의 향을 바로 맡을 수 있고, 차를 여러 번 우려 마실 수 있다. 처음 사용할 때는 뜨거운 물을 부어 사용하는 개완이 손에 익숙치 않아서 사용하기 .. 2022. 5. 27.
반응형